본문 바로가기
One more thing

모찌의 귀결주의, 사회적 이익과 도덕성

by 216초전 2023. 9. 12.

사회적 이익
사회적 이익

모찌의 귀결주의, 사회적 이익과 도덕성

모히스트 윤리는 귀결주의의 한 형태로서,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에 기초하여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철학적 입장을 나타냅니다. 모찌(Mozi)는 그의 윤리적 이론에서 특히 행동이 사회 전체의 이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주요 개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결과 중심적 관점

모찌는 행동, 진술, 교수법, 정책, 판단 등의 도덕성을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에 따라 판단하였습니다. 그의 주요 관심사는 어떤 행동이 사회적 이익을 증진시키는지 여부였습니다. 따라서 어떤 행동이 사회적 효용을 증가시키면 도덕적으로 옳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사회 전체의 이익

모찌는 사회 전체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습니다. 그에 따라 개인적인 이익보다는 사회적 이익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이를 통해 공공복리를 증진시키는 행동을 지지했습니다.

  • 비판적 태도

모찌는 자신의 결과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다양한 것들을 비판했습니다. 공격적인 전쟁, 고가의 장례식, 음악, 춤 등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였습니다. 이러한 것들이 사회적 이익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귀결주의 구조

모히스트 귀결론은 귀결주의의 구조를 따르며, 결과에 기반한 도덕적 판단을 수행합니다. 이론적으로 결과주의는 어떤 결과가 도덕적으로 옳은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모찌의 윤리는 이러한 구조를 공유합니다. 이익 (리, li): 모찌의 윤리는 "이익" 또는 "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익은 사회적 효용과 공공적인 이익을 나타내며, 모찌는 이를 고려하여 도덕적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모찌의 윤리를 해석하는 데에는 다양한 관점이 있을 수 있으며, 그의 결과주의적 관점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모찌의 주요 관심사는 사회적 이익과 공공적 복리를 증진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토대로 도덕적 판단을 내린 것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모히스트 윤리학과 모우지의 도덕적 대립, 국가 귀결주의와 개인 행복의 갈등

  • 모히스트 윤리학

모히스트 윤리학은 행동이나 발언의 도덕적 가치를 국가 안정과 관련하여 판단하는 윤리 이론입니다. 이에 따르면 개인의 행동은 국가 안정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에 따라 도덕적 평가를 받게 됩니다. 모히스트 윤리학은 국가와 관련된 재화와 목적을 중심으로 윤리 이론을 개발하며, 국가 귀결주의자로 간주됩니다. 이 국가 관련 재화에는 사회 질서, 물질적 부, 인구 증가가 포함됩니다.

  • 모우지 (Mencius)

모우지는 고대 중국의 윤리학자로, 그의 관점은 모히스트 윤리학과 대조됩니다. 모우지는 국가의 결과보다는 개인의 행동 결과를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개인의 행복이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그는 풍요와 사회 안정을 통해 개인의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모히스트 윤리학과 모우지의 이론적 차이를 강조하며, 모히스트 윤리학이 국가와 국가 관련 재화에 중점을 두고 도덕적 가치를 평가한다는 관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모자(Mozi)의 윤리와 정치 철학에 대한 핵심 원리

  • 가치 있는 것의 추진

모자는 사람들이 윤리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취하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목표를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상향 식별: 이것은 사회에서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더 높은 지위의 사람들을 모범으로 삼아 그들의 행동을 따라야 한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유니버설 러브: 이것은 모자의 "포괄적 케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동등하게 사랑하고 돌봐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침략을 비난하다: 모자는 국가 간의 전쟁과 침략을 비난하며 평화와 조화를 중요시했습니다.

  • 사용 중인 모델레이트

모자는 소비와 낭비를 자제하고 중용되지 않는 럭셔리를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매장에서의 절제: 과도한 성욕과 소망을 제어하고 자기 통제를 강조했습니다.

  • 헤븐스 인텐던트

모자는 하늘 또는 천하(Heaven)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며, 그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지키는 것이 하늘의 뜻을 따르는 것이라고 봅니다.

  • 고스트에 대해서

모자는 조상 숭배를 중요시하며 조상을 존경하고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습니다.

  • 비난하는 음악

모자는 부패와 탐욕을 조장하는 음악을 비난하며, 윤리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 운명론을 비난하다

모자는 운명론을 비판하며, 인간의 행동과 노력이 사회적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모히즘의 보편적인 사랑과 중국의 역사적 맥락

모히즘은 고대 중국의 철학적 학파 중 하나로, 모히스트들은 보편적인 사랑의 원칙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도덕적 관심과 배려를 강조하는 태도로, 모히스트들은 이를 사회의 기본 규범으 채택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이것은 모든 사람이 서로에게 보편적으로 사랑과 배려를 표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맹자와 같은 다른 철학자들은 모히즘의 이러한 교리를 비판했습니다. 맹자는 모히즘의 보편적인 사랑을 가족과의 특별한 관계를 포기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비난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는 현대 학자들은 모히스트의 원래 교리가 훨씬 더 온화하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히스트의 교리는 사회적 영향력을 통해 변화할 수 있으며, 보편적인 사랑의 태도를 취하는 것이 전반적인 사회에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고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문장에서는 중국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모히스트의 보편적인 사랑이 어떻게 해석되었는지와 침략과 군사 작전과의 관련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모히스트는 중국의 다양한 통치자들을 비난하고, 그들이 정기적인 확장주의적 군사 작전을 통해 영토와 권력을 높이려고 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침략 전쟁은 인구에 부담을 주고,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모히즘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실제로 하나이며 동일하다고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문장에서는 모질라(Mozila)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이것은 아마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모질라가 아니라 모히스트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모히스트들은 지배자가 다른 나라를 침략하고 지배하는 것을 용인할 수 있지만, 자국의 시민들이 서로를 약탈하고 훔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모히스트가 보편적 사랑의 원칙을 지배자와 그 관할 지역의 모든 사람에게 확장하려는 관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